근육 긴장

근육 긴장 안다(Janda) 는 근육 긴장이 근육 불균형의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했습니다. 일반적으로, 근육 긴장은 억제성 근육보다 1/3배 정도 강합니다. 근육 긴장은 연속적으로 근육에 부하를 주어 손 상을 발생시킵니다. 근육의 긴장은 반사적으로 대항근(길항근, antagonist) 을 억제하고, 근육 불균형 을 만듭니다. 이런 근육 불균형은 전달되는 힘도 불균형적이기 때문에 관절 기능장애를 발생시킵니다. 관절 기능장애는 나쁜 움직임 패턴 (movement … Read more

근막 사슬

근막 사슬 근막은 정상적인 관절운동에 중요합니다. 근육과 뼈 사이에 위치한 근막은 장력을 이용할 수 있고 근막외피 안에 있는 근육의 수축으로 바깥으로 향하는 힘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몸통의 등허리근막(흉 요근막, thoracolumbar fascia)와 배근막(복부근막, abdominal fascia) 의 경우는 근육의 건막 부착 점을 형성합니다. 근막은 꼭 필요한 연결체계로써 몸통과 사지를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움직임을 위 해 여러 근육이 … Read more

근육 슬링

근육 슬링 독립적인 관절 운동을 위해 국소적으로 함께 작용하는 협동근(synergists)과는 대조적으로, 근육 슬링은 광범위하게 여러 관절(다관절, multiple joints) 의 움직임에 관여하며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근육 슬링 ( “근육고리; muscle loops’ 로도 부름)은 1930년대 이후부터 유럽의 의학계에 알려져 왔습니다. Benninghof(1994). Tittel(2000). Brügger(2000). Myers(2001)는 고리 (loop) 에 함께 연결되어 있는 근육사슬이 어떻게 전체적인 움직임의 질에 영향을 주는지 설명하였습니다. … Read more

사슬반응

사슬반응 사슬반응으로 근골격계의 병변을 개념화하였습니다. 그는 통증을 호소하는 지점으로부터 벗어난 곳에서 통증의 원인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얀다(Janda)는 근골격계, 근육계 및 중추신경계가 상호 작용을 하고 어떤 관절 및 근 육의 기능이상이 다른 관절 및 근육의 질과 기능을 저하시킨다고 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국소적 일 뿐만 아니라 신체 전반적으로도 나타난다고 하였습니다. 근육과 근막이 몇 개의 관절 분절에 걸쳐서 존재합니다. … Read more

근육 사슬

근육 사슬 근육사슬은 함께 작용하거나 운동패턴에 함께 영향을 주는 근육군입니다. 근육사슬에는 협동근, 근육 슬링, 근막 사슬의 형태가 있습니다. 근육사슬의 각 형태는 관절이나 신경조직과 상호의존적 관계를 가집니다. 협동근 협동근은 관절 주위의 안정성이나 움직임을 위해 다른 근육(주동근)과 함께 작용합니다. 협동근은 이차적인 움직임을 발생시키고 안정화시키거나 중립을 유지하는데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어깨를 회 전할 때 돌림근띠(회전근개, rotator cuff) 는 … Read more

국소 효과

국소 효과 요통과 만성적 목 통증을 가진 환자는 고유수용성 감각의 감소를 보입니다. 관절 삼출은 흔히 무릎 과 발목에서 척수반사로를 통해 국소 근육의 반사적 억제를 야기시킵니다. 근육억제의 정도는 관절손상의 정도와 관련이 있다(Hurley 1997). 근 위축은 만성 목 통증 환자의 뒤통수밑근(후두하 근. suboccipitals)과 만성 요통환자의 못갈래근(다열근, multifidus). 앞십자인대 손상환자의 안쪽 넓은근(내측광근, vastus medialis)에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근 … Read more

고유수용성 감각의 병리

고유수용성 감각의 병리 감각계는 운동계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Kurtz(1939)는 관절 불안정성이 인대불안정 보다는 고유수용성 감각이상에 의해 야기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Freeman과 동료들(1965)은 기능적인 불안정성이 정상적인 근력과 구조에서도 반복적인 관절 불안정성이 나타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그들 은 이러한 불안정성이 발생하는 것은 구심로차단(deafferentation)이나 손상된 발목인대의 관절 기계 수용기가 손상되어 중추신경계(CNS)로 가는 구심성 정보가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가정 하였습니다. Tropp(2002)은 기능적 … Read more

기능적 관절 안정화

기능적 관절 안정화 주동근과 길항근의 균형은 관절 안정성을 제공하여 인대를 보조하고, 관절면에 가해지는 압력분 배를 균등하게 하기 위해 필요하다(Baratta et al. 1988). 관절 안정성은 정적과 동적 기전 (static and dynamic mechanisms)의 결과입니다. 정적 안정성 (static stability)은 뼈 일치, 인대 그리고 관절낭과 같 은 수동적 구조로부터 발생합니다. 동적 안정성(dynamic stability)은 근수축에 의해 발생하고 기능적 관절 안정화라 … Read more

감각운동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감각운동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운동조절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컴퓨터의 입력과 출력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근 원들(키보드, 마우스 등) 로부터 정보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로 입력되어 다양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정보처리됩니다. 마지막으로 정보는 스크린이나 프린터를 통해 출력됩니다. 감각수용기 (Sensory Receptors) 중추신경계(CNS)로 가는 감각입력은 구심성 정보(afferent information)로 나타냅니다. Sherrington (1906) 은 고유수용성 감각을 위치와 자세, 움직임의 감각으로 정의하였습니다. 비록 특별화된 … Read more

근육 불균형의 패러다임

근육 불균형의 패러다임 근육의 불균형에 대한 두 가지 개념이 있습니다. 한 학파는 근육 불균형이 반복된 움직임과 자세로부터 기인되는 생역학적 소인에 있다고 믿고 있고, 다른 학파는 근육 불균형이 신경학적인 소인에 있 다고 믿습니다. 임상적으로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생체역학적이고 신경학적인 근육 불균 형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환자들이 생체역학 및 신경학적 요인들로 구성된 복합적 근육 불균형 중후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