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발점와 압통점
압통점은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 유발점(TrP)과 구별되어야 합니다. 섬유근육통과 관련 있는 압 통점은 광범위적이고 비특이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압통점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 어떤 특정 연 부조직에서 압통이 나타나는지 불확실하므로 국소적인 치료를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반 면에, 근막통증과 관련된 유발점의 특정 치료는 종종 극적인 효과를 보이는데, 이는 근육 기능이상 으로 인한 근막 통증으로 인한 경우입니다. 압통점 (tender point) 은 종종 섬유근육 통에서 발견되는데 광범위하고, 비특이적인 연부조직 통증과 근육과 연부조직의 단단한 촉진의 어 느 유형에도 낮은 역치값을 보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압통점 (tender point) 의 생검 연구에서 호소증상이 있는 위치의 근막 조직의 비정상성 또는 조직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섬유근육 통 환자는 말초 연부조직의 기능장애가 아니라 중추신경계에 의한 통증 처리과정으로 인한 기능이 상을 나타낸다는 현재 이론을 뒷받침합니다. 섬유근육통은 전신 질환이며 변연계(limbic system) 또 는 신경내분비계(neuroendocrine system)의 기능이상으로 인한 것으로 가정하고, 종종 심리치료, 항우울 약물과 적당한 운동을 포함한 종합적인 접근 방법이 필요합니다. 반면, 근막통증은 유발점으로 인한 국소적이고 전형적인 통증 유형을 보입니다. 근막 유발점 (myofascial TrP)은 골격근의 단단한 띠 (taut band) 내에서 발견되고 촉진 시 결절 질감을 보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유발점은 외상, 과사용 또는 지속적인 근육의 경련 이후에 발생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유발점은 생검 연구에서 특정한 생화학적, 조직학적인 비정상을 보였고, 주변 조직은 활동하지 않 는 반면 자발적인 전기적 활동의 스파이크가 나타났습니다. 얀다(Janda) 는 근막 유발점을 근 육 협동장애 (Janda 1991)로 설명하였는데, 손상 받은 근섬유들은 과도한 긴장상태를 보이는데 이는 주변의 정상긴장상태의 근 섬유들로 둘러싸여 있다는 점에서 적절합니다. 따라서, 근막 유발점에는 종 종 유발점 압박 이완(공식적으로 허혈성 압박으로 알려짐), 특정 스트레칭 그리고 등척성 후 이완요법(postisometric relaxation) 과 같은 도수 치료법을 시행합니다. 근막 유발점과 압통점은 피부, 피부아래, 근육내에서 모두 압통을 느낍니다. 그러나 근막 유발점은 골격근 근힘살 중간에서 항상 나타나는 국한된 유발점 과 연관 압통이 나타나는 특정 부분에서만 비정상적으로 압통이 나타났습니다. 반면,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비정상적인 압통은 특정 유형이 없이 넓게 나타났습니다. 유발점이 있는 근육은 그 안에 있는 촉진이 가능한 작은 결절 또는 긴장성 띠로 인하여 흔히 딱딱하게 느끼는 반면, 압통이 퍼지는 환자 의 근육은 더 부드럽고 물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