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렁조직(연부조직) 평가
근력 마지막 자세, 검사와 과정은 균형과 조합됩니다. 움직임 촉진을 통한 패턴의 물렁조직 시진을 평가는 물렁조직(연조직) 통하여 증상과 얻어진 통증을 평가입니다. 정보는 유발하여 물렁조직 구체적 기 능적인 병리현상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평가 시 거의 마지막 단계에서 시행하며 이에는 압통점 (tendor point) . 유발점 (TrP) 및 물렁조직(연부조직) 검사를 포함합니다. 이전 장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근육 기능장애는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과긴장성) 또는 낮은 (저 긴장성) 긴장도를 보입니다. 대근육 기능장애(global muscle dysfunction) 또는 대근육 긴장도(global muscle tone)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전체 근육이 비정상적인 긴장도의 변화를 보이는 임상현상을 말하는데 이와 달리 유발점(TrP) 은 기능장애가 집중적 혹은 국소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유발점은 과긴 장도(hypertonicity)가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부위로 움직임 시에는 통증이 나타나지 않지만 촉진 시 통증이 유발되는데, 근육 내에서 국소적이고 자극의 감수성이 높아진 단단한 띠 (taut band 라 할 수 있습니다. 유발점을 포함하는 근육은 오직 한 부분 또는 그 이상의 근육의 일부가 영향을 받으므로 전반적인 긴장도와 길이가 반드시 비정상은 아닙니다. 이 긴장도가 높은 단단한 띠 (taut band) 는 자극에 대한 낮은 역치를 보이고, 우선적으로 수축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자발적 움직임에서 비효율적입니다. 이 런 유형의 국소적인 근육 기능장애는 전형적으로 근막통증증후군(MPS)과 관련이 있습니다. 뇌는 근육을 통해 신체의 모든 움직임을 조절하기 때문에, 근육 긴장도 변화는 척수신경, 관절, 디스크, 근육 또는 인대 자극에 대한 전형적인 신경학적 반사 반응 변화를 일으킵니다. 이러한 반응은 보호를 위해 상호 억제의 반사궁을 유발하고 운동계 기능을 손상시킵니다. 이 반사반응은 보통 급성 추간판 탈출증(disc herniation)에 서 나타나는데, 심부 뭇갈래근을 억제하고 동시에 표면의 척추세움근의 근방호(muscle guarding) 와 홍분이 일어났습니다. 보호 반사 반응의 대표적인 다른 예는 앞십자인대 파열에서 나타나는데 넙다 리네갈래근이 억제되고 동시에 뒤넙다리근이 촉진되거나 긴장도가 높아집니다. 쉐링톤의 상호 억제 법칙(Sherrington’ s law of reciprocal inhibition)에 따라 길항근이 수축할 때 반사적으로 근육은 억제됩니다. 유발점은 얀다(Janda)가 기술한 근육 협동장애(muscle incoordination) 부위로 언급되었던(Janda 1986; Jull and Janda 1987) 중간볼기근과 같은 전반적으로 긴장도가 낮은 근육에 서 발견됩니다. 이 유형의 근육 협응장애는 근육 긴장도의 신경 조절 변화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다양한 패턴 부위 통증 증후군(regional pain syndrome) 에서 흔히 나타나는 집중적인 근육 기능장애, 유발점, 근막통증에 대한 완전하고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합니다. 집중적인 근육 기능장애에서 나타나 는 유발점은 MPS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근막 유발점은 신체에서 각각의 골격근의 특징적인 패턴으로 나타납니다. 감염된 신경근(nerve root)에서 나타나는 피부분절의 패턴과 마찬가지로 근막통증 패턴은 진단기준으로서 중요합니다. 이 책 3장에서는 유발점 사슬과 압통점 (tendor point) 와 유발점의 Lewit의 유해수용성 사슬을 기술하였습니다. 특정 근육에서 주요 유발점은 그 근육과 기능적으로 연관된 다른 근육에서 위성 유발점 (satellite TrP) 발생을 유도 하고, 불활성화는 종종 저절로 위성 유발점을 불활성화시킵니다. 임상가들은 때로는 유발점(TrPs)과 압통점을 병리현상으로 보다는 지표 또는 증상으로 보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섬유근육통과 관련된 유발점과 압통점은 사실은 잠재적인 신경근 병리 증상일 수 있습니다. 종종 임상 전과 후의 이러한 부분의 압통을 평가하여 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료 후 에 통증이 감소하였다면, 치료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유발점 (TrPs) 의 직접적인 치료로는 분무(spray) 와 스트레칭, 열, 전기자극(경피적 전기신경자극(TENS))와 간 섭파 치료(interferential therapy) 와 능동적인 관절가동운동이 있습니다. 허혈성 압박(ischemic com pression)과 이러한 치료의 병행은 유발점의 통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근막통증증후군에서 혼히 나타나는 유발점 설명으로 시작하여 섬유근육통에서 흔히 나 타나는 유발점을 압통점과 구분하여 원인과 병태생리는 현재 이용 가능한 근거를 기초로 하여 요약 하였습니다. 또한, 발달운동학의 개념은 운동계 구성요소의 상관관계와 상호작용과 유발점 사슬에서 나 타나는 운동계 균형 또는 근육 불균형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폭넓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설명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