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수용성 감각의 병리
감각계는 운동계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Kurtz(1939)는 관절 불안정성이 인대불안정 보다는 고유수용성 감각이상에 의해 야기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Freeman과 동료들(1965)은 기능적인 불안정성이 정상적인 근력과 구조에서도 반복적인 관절 불안정성이 나타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그들 은 이러한 불안정성이 발생하는 것은 구심로차단(deafferentation)이나 손상된 발목인대의 관절 기계 수용기가 손상되어 중추신경계(CNS)로 가는 구심성 정보가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가정 하였습니다. Tropp(2002)은 기능적 불안정성을 고유수용성 감각 및 신경근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안정성 감각 혹은 재발하는 염좌라 정의하였습니다. 임상적으로, 저희는 기능적 불안정성을 만성 염좌나 미세 불안정성, 만성적 아탈구로 진단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기능적 불안정성은 발목과 어깨, 무릎, 허리, 목의 만성통증을 가진 환자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O’ Connor와 동료들(1992)은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구심성 고유수용성 정보가 관절 통합성을 유 지하기 위하여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그들은 개를 대상으로하는 세 그룹에서 무릎관절 탈신 경의 양을 평가하였습니다. 세 그룹은 인대 정상 구심성 신경제거 그룹, 앞십자인대 결함 그룹, 앞십자 인대 결함과 구심성 신경제거 그룹이었습니다. 연구자들은 신경제거 그룹에서 관절염 변화는 없었으며, 앞십자인대 결함 그룹에서 약간 변화가 있고, 앞십자인대 결함 및 신경제거된 그룹에서는 현저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연구자들은 신경이 손상된 그룹에서는 움직임 전략을 적응하고 스트레스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결론 지었으나. 인대가 손상된 그룹에서는 관절 손상 특히, 구심성 정보의 손실 을 경험하였다고 결론 지었습니다. 연구자들은 이 과정을 골관절증의 신경성 가속화라고 말하였습니다. Barrett와 동료들(1991)은 노인의 감소된 고유수용성 감각 이 무릎변형의 시작과 가속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습니다. 고유수용성 감각결함은 감각계 내의 기능이상을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Wojtys와 동료들(1994)는 고 유수용성 감각 결함이 반사적인 관절 안정화의 방호적 근육반응을 지연시킨다고 하였습니다. 간접적으 로 고유수용성 감각을 측정하는 체성감각 유발전위(SSEPs)는 간접적으로 고유수용성 감각을 측정 할 수 있는데 무릎 불안정 성(Pitman et al. 1992)과 어깨 불안정성을가진 환자가 불안정성을 갖지 않는 사람에 비해 고유수용성 감각이 비정상적이라는 것을 보여 주었 다). 결국, 고유수용성 감각결함은 국소적이고 전반적인 기능이상을 둘 다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불충분 하거나 부적절한 구심성 정보는 중추신경계처리에 영향을 주어 운동출력과 관절기능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므로 임상가들은 국소화된 증상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 신체의 감각 운동계 기능이상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근육 활성화와 균형전략은 관절 병리와 함께 변화되고 이는 국소적 근육 활성화 및 전반적 균형전략 기능에 영향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