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운동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운동조절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컴퓨터의 입력과 출력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근 원들(키보드, 마우스 등) 로부터 정보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로 입력되어 다양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정보처리됩니다. 마지막으로 정보는 스크린이나 프린터를 통해 출력됩니다. 감각수용기 (Sensory Receptors) 중추신경계(CNS)로 가는 감각입력은 구심성 정보(afferent information)로 나타냅니다. Sherrington (1906) 은 고유수용성 감각을 위치와 자세, 움직임의 감각으로 정의하였습니다.
비록 특별화된 구심성 수용기가 동시에 확인되지 않더라도 Sherrington은 신체가 고유수용성 수용기로부터 움직임을 조 절하기 위한 정보의 어떤 시스템을 갖는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거의 1세기 후에, Lephart와 Fu (2000)는 “말초수용기에 의한 자극의 습득, 기계적 자극을 신경적 신호로 변환한 후 처리하기 위해 중추신경계(CNS)까지 구심성 경로를 따라 전달됩니다. “라고 고유수용성 감각을 재정립하였습니다. 고유수용성 감각의 정의는 감각정보로부터 처리 (processing) 또는 반응(response)을 포함하지 않으며, 많은 임상가와 연구자는 관절위치 감각이나 움직임 탐지(detection of motion)를 통한 고유수용성 감각을 측정할 때 자주 실수합니다. 이러한 측정 은 고유수용성 감각의 직접적인 측정이라기 보다는 고유수용성 정보처리의 간접적인 측정입니다. 감각수용기로부터 오는 구심성 정보는 운동반응(motor responese)을 생성시키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역할을 합니다. (a) 직접적으로 반사반응을 유발시키는 것; (b) 프로그래밍되어 있고 수의적인 반응의 변수를 결정짓는 것; (c) 서기와 걷기 중에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자동적인 운동출력(motor output)을 위한 되먹임(feedback)과 앞먹임(feed-forward mechanisms) 기전의 통합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Cohen와 Cohen(1956) 은 관절수용기로부터 구심성 정보는 관절주변 근육들의 활동을 조정한다라는 관절운동 반사(arthrokinematic reflex)를 기술하였습니다. 고유수용성 입력은 근육과 관절로부터 오는 위치감각에 대한 정보와 피부에 있는 외부수용기(exteroceptors)로부터 오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컴퓨터 비유에서 감각수용기는 중추신경계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하드웨어이고, 감각입력과 관련된 하드웨어 구조는 기계수용기, 근수용기 그리고 외부수용기를 포함하는 특별한 구심성 수용기입니다.